인천공항이 코로나 이후 어려워진 경영상황에서 창사 이래 최초로 채권 3,300억 원을 발행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김경욱)는 27일 “지난 26일 국제금융시장에서 3억 달러(한화 약 3,300억 원) 규모의 해외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며 “이번에 발행한 채권은 5년 만기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채권으로 시티 글로벌마켓, JP모건, 메릴린치(BOFA) 증권이 채권발행 주요 주관사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인천공항이 이번에 발행한 EGS채권은 유럽 등 해외채권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는 채권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 등 사회적 책임투자를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이다. 인천공항 관계자는 “인천공항 4단계 건설 및 해외사업, 주변지역 개발 등 포스트코로나 대비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고 지원 없이 독자적으로 글로벌 공항전문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핵심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고자 공사 창립 이래 최초로 채권 발행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인천공항 재무팀 김충영 팀장은 “이번 채권 발행 과정에서 목표액의 약 6.5배 수준인 약 19.5억 달러(한화 2.2조)의 투자수요를 모았다”며 “코로나19 확산으로 전 세계적인 항공수요 감소 및 경기 침체 등 투자심리가 위축되었지만 인천공항의 국가수준 국제신용등급(‘무디스’ Aa2, ‘S&P’ AA), 동북아 항공시장에서의 위상, 우수한 재무건전성 등을 해외투자자들이 높이 평가한 결과로 풀이된다”고 덧붙였다.
김 팀장은 “목표액을 훨씬 상회하는 투자수요로 채권에 대한 금리는 당초 목표했던 것보다 0.325%p 낮은 1.361%로 최종 결정됐다”며 “이자비용에서도 국내 채권 발행 대비 약 100억 원 정도를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부연했다.
또 인천공항 채권 매수 주문에 대한 수요를 분석해 보면 지역별로 아시아 70%, 유럽 13%, 미국 5%, 중동 및 아프리카 등 기타지역 12%로 아시아 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투자자 유형별로는 자산운용사 68%, 은행 및 국부펀드 20%, 프라이빗 뱅크 5%, 보험사 3%, 기타 투자자 4%로 나타났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김경욱 사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투자심리가 세계적으로 위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천공항의 높은 신용등급과 건실한 재무건전성, 적극적인 해외 투자자 설명회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해 약 100억 원의 이자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공사는 4단계 건설 및 해외사업 등 핵심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포스트코로나 대비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태그
전체댓글수 0
[초점] 면세점 송객수수료, 2022년 7조 원 넘게 퍼줘
[분석] 면세점 대량판매, 영업이익에 극도로 부정적인 영향 끼쳐
TFWA 칸느 행사(10.24~28), 듀프리·카타르 듀티프리 등 참가
인천공항, 9월 ‘샤넬’·‘롤렉스’ 면세점 매장 오픈
[분석] 면세점 7월 매출액 1조3,167억 원으로 또 떨어져
[분석] 면세점 6월 매출액 1조3,479억 원으로 전월대비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