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나라장터 공고문 갈무리, 2024.05.24. |
해외직구로 온 나라가 들썩이는 가운데 정부가 정책발표 3일 만에 이를 뒤집는 발표를 해 혼란에 빠져 있다. 그런 가운데 관세청이 지난 16일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9천만 원을 들여 “해외 직접구내 증가가 국내 산업 등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을 연구하는 용역을 발주했다. 공고명에는 붉은 글씨로 ‘긴급공고’라고 표기 되어 있다. 정부 테스크포스(TF)가 해외직구를 금지하겠다고 공식 발표하기 하루 전이다.
연구에 대한 제안요청서에는 4개월의 기간 동안 해외직구 현황과 국내 산업과 국민생활등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화해서 분석하고 국민 안전과 편익 확보를 위한 방안 제시 및 소액면세제도 개편방안을 포함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해당 연구를 발주한 관세청 전자상거래통관과 김성익 사무관은 “관세청이 지난 1월부터 연구과제로 선정해 제안서 작성을 준비했고 5월 16일 공고를 했다”며 “범정부 발표의 후속조치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시기상으로 너무 공교롭다. 범정부 차원에서 지난 3월 부터 TF를 운영해 두 달 간 논의 과정을 거쳤다는 내용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상식적이라면 관세행정을 총괄하는 관세청이 수년 전 부터 해외직구가 폭증하고 있다는 발표를 해왔고 소비자 안전등에 관한 위험성과 국내 산업에 미치는 연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있었다면 범정부 TF 구성 이전에 해당 연구 결과를 수행 했어야 하며 책임 있는 정부기관이라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TF에 참여해야 맞다.
![]() |
▲ 사진=관세청 해외직구 연구 용역 제안요청서 갈무리, 2024.05.24. |
[저작권자ⓒ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체댓글수 0
[초점] 면세점 송객수수료, 2022년 7조 원 넘게 퍼줘
[분석] 면세점 대량판매, 영업이익에 극도로 부정적인 영향 끼쳐
TFWA 칸느 행사(10.24~28), 듀프리·카타르 듀티프리 등 참가
인천공항, 9월 ‘샤넬’·‘롤렉스’ 면세점 매장 오픈
[분석] 면세점 7월 매출액 1조3,167억 원으로 또 떨어져
[분석] 면세점 6월 매출액 1조3,479억 원으로 전월대비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