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의 타오위안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C, D구역 면세점 사업자 선정 입찰이 당초 예상보다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타이완 현지 매체는 해당 입찰공고가 지난해 11~12월 중에 나올 것으로 바라봤으나 이미 해를 넘긴 상태다. 현재 타오위안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사업자의 계약종료 시점은 올해 8월이다. 후속사업자 선정 및 준비기간을 고려하면 일정이 빠듯하다는 업계의 평이다.
▲출처=타이완 타오위안국제공항 홈페이지 / 타오위안국제공항 에버리치면세점 전경. 면세점전문지 ‘무디다빗리포트’는 “올해 2월 16일이 지난 뒤 입찰공고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공항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되면 타이완에 시내면세점을 세울 권리 또한 생기게 된다”고 지난 7일 보도했다. 해당 매체의 전망대로 입찰공고가 이달 내 이뤄진다면 타이완 타오위안국제공항 면세점 입찰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세계 면세사업자 간의 물밑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면세점 관계자에 따르면 “타오위안공항면세점 입찰 방식이 변경되는 사항이 있어 내부적으로 합의가 다 마쳐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외사업자 입찰 가능여부 또한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때문에 이달을 넘길 수 있는 가능성을 내비쳤다.
국내 면세사업자인 롯데·신라·신세계면세점 모두 타오위안국제공항 면세점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타이완 현지 매체는 롯데·신라면세점이 타오위안공항 면세점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업계 또한 신세계면세점 입찰 여부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중이다. 이외에도 세계 면세사업자인 듀프리, DFS 등도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현재 타오위안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는 업체는 현지 면세사업자인 에버리치(C구역)와 체멍(D구역)이다. 업계는 현지 사업자는 사업권을 보호하기 위한 경쟁이 일 것이며, 한국을 포함한 세계 면세사업자는 타이완 방문 관광객이 느는 만큼 사업 확장을 위한 전략이 펼쳐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롯데·신라는 홍콩 첵랍콕국제공항 입찰에 이어 타이완 타오위안국제공항에서도 세계 입찰 경쟁을 펼치게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관심을 모으는 것은 신세계면세점의 입찰 여부다. 신세계면세점은 명동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지난해 국내 신규 매장 중 1조 원을 넘는 매출을 달성했다. 여기에 더해 해외 사업까지 진출하게 되면 급성장 뿐만 아니라 해외 사업 진출이라는 공격적 사업 확장이라는 타이틀까지 거머쥐게 되는 모양새다.
이명구 관세청장이 10월 1일 제주 컨벤션센터 회의실에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면세점, 제주관광공사(JTO) 면세점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장을 방문했다.관세청 보세산업지원과 김진선 과장은 “이번 간담회가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매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도 지정면세점 업계의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안을
관세청(청장 이명구)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위원장 순천향대 정병웅 교수)은 9월 23일 천안 관세인재개발원에서 특허심사위원 20명과 ‘제5회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를 개최해 “롯데면세점 명동점의 특허갱신 심사를 심의해 갱신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특허심사위원회는 롯데면세점이 신청한 서류를 검토하고 프리젠테이션등 심사 과정을 거쳐 지난 5년간 최초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