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국내 면세업계에 대대적인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해외여행이 중단된 국내 면세점 시장의 판로는 주로 중국인 대량구매 상인들의 손에 좌우된다. 이들 중국인 대량구매 상인들은 국내 면세점의 오프라인 매장 문이 열리기도 전에 새벽부터 줄을 서거나 온라인에 물건이 공개되면 번개 같은 클릭질로 물품을 쓸어 담는다.
이들이 목표로 하는 물품들은 대부분이 ‘화장품’ 품목이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수입산 화장품인 ‘에스티로더’·‘SK-Ⅱ’·‘랑콤’·‘끌레드뽀’·‘시세이도’ 등과 같은 브랜드는 물론 국산 ‘K-Beauty’를 대표하는 ‘후’·‘설화수’·‘숨’과 같은 브랜드 제품들이다. 그런데 국내 면세점 상위 매출액 10위권 브랜드에 화장품이 아닌 국산 패션 제품이 자리잡았다. F&F가 운영하는 ‘MLB’와 ‘디스커버리’ 브랜드다.
![]() |
▲ 사진=김재영 기자 / 국내 대기업 면세점 MLB 매장에 쌓인 제품 박스(21.06.08) |
국내 면세점의 최근 브랜드 주목도에서 가장 큰 변화는 코로나19로 인해 ‘MLB’와 ‘디스커버리’ 브랜드 제품이 없어서 못 판다는 소리가 나온다. 화장품은 ‘MLB’와 ‘디스커버리’ 브랜드 제품에 비해 고가면서도 부피도 작다. 대량구매 상인들의 입장에서는 이동 수단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더 선호 할 것 같지만 그런 쟁쟁한 화장품들 사이에 끼어 매출 10위 이내에서 점차 앞순위로 이동 중이다. 외국 브랜드를 인수해 단시간에 인지도를 극복했던 사례가 아니기 때문에 더욱 놀랍다.
F&F IR담당자는 “중국 직접 진출을 위해 현지 매장을 공격적으로 개설하고 있어 지난 20년 2분기 4개뿐이던 매장이 3분기에는 25개 증가한 29곳으로, 그리고 20년 4분기에는 42개가 추가된 72개 매장을 운영했다”며 “올해 1분기 41곳이 추가된 112개로 그리고 2분기에도 78곳이 추가돼 6월 말에 총 190곳에 직영 매장을 운영할 예정이다”고 말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중국 내 직영 매장을 약 300여 곳에서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
▲ 사진=김재영 기자 / 국내 대기업 면세점 디스커버리 매장에 쌓인 제품 박스(21.06.08) |
F&F 회사 자료에는 2020년 1분기 상해 법인의 매출액이 60억 원이었는데 3분기 160억 원, 4분기에는 430억 원, 올해 1분기에는 500억 원을 기록하고 있다. ‘MLB’와 ‘디스커버리’ 브랜드는 코로나19 와 전혀 상관없이 분기별 매출액이 딱 1년 만에 733% 성장이라는 경이로운 기록갱신을 하고 있다. 특히 면세업계 관계자는 “올해 4월과 5월의 경우 국내 면세점에서 전년 동기 대비 각 200% 성장이라는 말도 안되는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며 “‘MLB’와 ‘디스커버리’ 브랜드의 성장세가 마치 브레이크 없는 폭주기관차처럼 내 달리고 있다”고 놀라움을 표시했다.
![]() |
▲ 사진=김재영 기자 / 국내 대기업 면세점 디스커버리 매장에 쌓인 운동화 박스(21.06.08) |
[저작권자ⓒ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체댓글수 0
[평가와 전망] 21년 국내 항공산업을 평가하고 22년 시장전망 ③
[평가와 전망] 21년 국내 항공산업을 평가하고 22년 시장전망②
TFWA 칸느 행사(10.24~28), 듀프리·카타르 듀티프리 등 참가
인천공항, 9월 ‘샤넬’·‘롤렉스’ 면세점 매장 오픈
[분석] 면세점 7월 매출액 1조3,167억 원으로 또 떨어져
[분석] 면세점 6월 매출액 1조3,479억 원으로 전월대비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