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1번지] 2018 '구찌'(Gucci) 매출 '10조 원', 36.9% 대폭 성장

케링 그룹 전체 매출 60% 도맡아
온라인 판매 '70.1%' 급증, 매출 증가세 이끌어
판로 다양화 매출 증가 요인, 전 세계적 성장
기사입력 : 2019-03-13 17:53:16 최종수정 : 2019-05-07 16: 28 박래양 기자
  • 인쇄
  • +
  • -

 

▲사진=구찌 홈페이지/ 러스트 인덱스(lyst index) 1위에 오른 구찌 소호 디스코백

 

'구찌'(Gucci) 연간 매출이 '10조 원'을 돌파하며 전년 대비 36.9% 대폭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2일 발표된 재정 보고서에 따르면 '구찌'가 70.1% 급증한 온라인 판매를 바탕으로 2018년 82억 8천 4백만 유로(약 10조 5천억 원, 2019.02.13 기준)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매출은 '케링'(KERING) 그룹 전체 매출의 60%에 해당하는 수치다.

'케링' 그룹이 보유한 다른 브랜드인 '입 생 로랑'(Yves Saint Laurent)은 17억 4천 3백만 유로(약 2조 2천억 원), '보테가 베네타'(Bottega Veneta)는 11억 9백만 유로(약 1조 4천억 원)의 판매고를 올렸지만 '구찌'가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매출을 견인했다.
 

▲출처=구찌 재정보고서 / 2018년도 매출 보고서

특히 온라인 판매가 70.1% 급증하면서 매출 증가세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45%, 북미 지역에서 43.6%가 성장한 것으로 나타나 브랜드 제품 판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였다.

'무디다빗리포트'는 "'구찌' 판매액의 10%에 해당하는 1조 원이 면세 매출이며 1조 2천 억 원이 전자상거래 매출"이라고 보도하며 판도 다양화가 매출 증가 요인으로 분석했다. 케링 그룹은 아시아 태평양에서 34.1%·북미에서 37.3%·일본에서 23.7%·서유럽에서 23% 등 전세계적으로 성장해 차후에도 매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찌'의 판매율이 높아지면서 명품 시장의 판로와 위상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브랜드 제품의 판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확대되면서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을 필두로 한 시장의 새로운 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태그

댓글쓰기

전체댓글수 0

  • 인사·동정
    관세청 인천공항세관장 인사
    ■ 고위공무원 가급 승진 및 전보(2025년 10월 15일자) 관세청 인천공항세관장 박 헌 (朴軒)
  • 인사·동정
    이명구 관세청장, 제주도 지정면세점 업계 간담회 개최
    이명구 관세청장이 10월 1일 제주 컨벤션센터 회의실에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면세점, 제주관광공사(JTO) 면세점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장을 방문했다.관세청 보세산업지원과 김진선 과장은 “이번 간담회가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매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도 지정면세점 업계의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안을
  • 특허경쟁
    롯데免 명동점, 5년 특허 갱신 획득
    관세청(청장 이명구)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위원장 순천향대 정병웅 교수)은 9월 23일 천안 관세인재개발원에서 특허심사위원 20명과 ‘제5회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를 개최해 “롯데면세점 명동점의 특허갱신 심사를 심의해 갱신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특허심사위원회는 롯데면세점이 신청한 서류를 검토하고 프리젠테이션등 심사 과정을 거쳐 지난 5년간 최초 특

TR&DF 뉴스레터

TR&DF의 심층적인 분석 콘텐츠가
담긴 뉴스레터로 하루를 시작하세요.

TR&DF 뉴스레터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