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면세점 서울점, ‘프라다’ 지난 1월 ‘폐점’...화장품 매장으로 탈바꿈

“올해 1월 프라다 매장 일단 철수’”
프라다 매장 폐점 후 ‘화장품 브랜드 강화’
신라 부대시설 완공 후 재입점 한다지만...
브랜드 관계자, "사실상 재입점 어려울 듯"
기사입력 : 2018-09-19 16:42:22 최종수정 : 2018-09-21 11: 03 김선호
  • 인쇄
  • +
  • -
▲사진=김선호 기자/ 2017년까지 신라면세점 서울점에서 운영된 프라다 매장
▲사진=김선호 기자/ 신라면세점 서울점에서 프라다 매장이 '폐점'하고 화장품 매장으로 운영 중

 

신라면세점 서울점에서 명품 브랜드 중 하나인 ‘프라다’를 찾아볼 수 없게 됐다. 올해 1월 브티크 공간이던 프라다 매장이 ‘폐점’한 후 화장품 매장으로 전환된 것이다. 


신라면세점 관계자는 “MD구성을 변경했으며, 서울점 확장공사가 끝난 후 매장 이전할 때 프라다 재입점을 논의할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래픽=김선호 기자

 

국내 면세점에서 프라다의 연매출은 지속적으로 하락 중이다. 2013년 1,015억원(매출 순위 8위), 2014년 1,085억원(11위) 매출을 기록했으나 2015년 723억원(19위), 2016년 574억원(28위)으로 내려앉았다. 2017년엔 브랜드 매출 순위 30위권으로 밀려나며 2014년 대비 매출이 반토막이 났다.
 

매출 하락이 폐점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구찌는 면세점의 '큰 손' 중국인의 취향에 맞는 디자인 변화를 통해 매출이 급상승한 반면 프라다는 소비경향에 뒤처져 매출이 급감해 '입점 가치'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신라면세점 서울점은 신라호텔의 ‘한옥호텔’ 건립으로 매장을 부대시설로 옮기면서 매장 재구성이 이뤄지고 있다. 때문에 신라 측에서 명품 브랜드를 무리해서 유치하기 보다 화장품 매장으로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한 명품 브랜드 관계자는 “매출이 부진해도 면세점에서 명품 브랜드를 철수시키는 일은 드물다. 매장이 폐점되는 이유는 ‘마진’ 협상 요인이 크다"고 바라봤다. 이어 "프라다 외에 닥스,메트로시티 브랜드도 매출 하락 및 부대시설 이동에 따른 협상이 이뤄지지 않아 올해 하반기에 최종 철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명품 브랜드 관계자는 "신라에서 프라다 매출이 더욱 급격히 감소했다. 내국인보다 중국인 매출 비중이 신라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며 "프라다에선 신라 매장 폐점 이후 추가로 매장을 늘릴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 신라면세점 서울점에서 프라다매장은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 

[저작권자ⓒ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태그

댓글쓰기

전체댓글수 0

  • 인사·동정
    관세청 인천공항세관장 인사
    ■ 고위공무원 가급 승진 및 전보(2025년 10월 15일자) 관세청 인천공항세관장 박 헌 (朴軒)
  • 인사·동정
    이명구 관세청장, 제주도 지정면세점 업계 간담회 개최
    이명구 관세청장이 10월 1일 제주 컨벤션센터 회의실에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면세점, 제주관광공사(JTO) 면세점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장을 방문했다.관세청 보세산업지원과 김진선 과장은 “이번 간담회가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매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도 지정면세점 업계의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안을
  • 특허경쟁
    롯데免 명동점, 5년 특허 갱신 획득
    관세청(청장 이명구)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위원장 순천향대 정병웅 교수)은 9월 23일 천안 관세인재개발원에서 특허심사위원 20명과 ‘제5회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를 개최해 “롯데면세점 명동점의 특허갱신 심사를 심의해 갱신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특허심사위원회는 롯데면세점이 신청한 서류를 검토하고 프리젠테이션등 심사 과정을 거쳐 지난 5년간 최초 특

TR&DF 뉴스레터

TR&DF의 심층적인 분석 콘텐츠가
담긴 뉴스레터로 하루를 시작하세요.

TR&DF 뉴스레터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